설교(Preaching)

아브라함, 말씀에서 이삭의 부활을 믿다.

설교자
김충만 목사
설교일자
2024-03-31
성경본문
히브리서 11.17-19

1311주일 11.17-19

아브라함말씀에서 이삭의 부활을 믿다.

 

    “아브라함은 시험(test)을 받을 때에 믿음으로 이삭을 드렸으니

      그는 약속들을 받은 자로되 그 외아들을 드렸느니라.

      그에게 이미 말씀하시기를 네 자손이라 칭할 자는 이삭으로 말미암으리라 하셨으니,

      그가 하나님이 능히 이삭을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리실 줄로 생각한지라

      비유컨대 그를 죽은 자 가운데서 도로 받은 것이니라.”

 

하나님은 100세에 얻은 이삭을 번제로 드리라고 명령하신다이를 아브라함이 어떻게 이해하고받아들이고해결해 가는가.

 

 

1. 아브라함아삭을 향해 하나님이 말씀하신 것을 생각하다.

     아브라함의 믿음모리아산으로 아들 이삭과 함께 오르다

  

[아브라함과 이삭이들 부자(父子)의 비밀]: 말씀(하나님)을 생각하다.’

 

    *너로 큰 민족을 이루고(12.2a, 75)

      → 무자(無子, 15) - A 나의 상속자*는 이 다메섹 사람 엘리에셀이니이다(2).

                                      G 네 몸에서 날 자가 네 상속자*가 되리라(4).

        → 이스마엘 출생(16:15-16, 86): 아브라함 하갈

            A[99] 이스마엘*이나 하나님 앞에 살기를 원하나이다(17.18)

            G 아니라 사라가 네게 아들을 낳으리니 … 내가 그와 내 언약을 세우리니(17.19)

          → 득남(得男, 21.1- , 100): 아브라함 사라

            → G 네 사랑하는 독자 이삭을 … 번제로 드리라(2)

               ➜ 3(4): 모리아산으로 가는 길

 

하나님께서 주신 답이 이 말씀이다: “아니라 사라가 네게 아들을 낳으리니 … 내가 그와 내 언약을 세우리니(17.19) 여기가 가장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아브라함은 물론이고 우리도 잊어서는 절대 안 된다무엇을 말인가아브라함과 사라 사이에서 난 아들그가 상속자이자또한 무엇인가아브라함에게 하신 모든 말씀곧 복언약(약속), 아브라함과 이삭을 통한 후손그들에게 약속의 땅 가나안이 주어질 것에 대한 약속무엇보다 여자의 후손’(3.15)이 태어나는 메시아의 가계라는그러니까 이를 위해 창세기 12장부터 지금 22장까지 이르신 모든 하나님의 말씀이 아브라함에서 누구로 말미암아 성취된다고 하시는가바로 독자 이삭이다이것이 이삭이 가지는 독특한 지위이자 위치다.

아브라함은 두 갈림길에서 생각했다하나님이 명하신 명령을 감히 누가 거역할 수 있단 말인가동시에 그렇다면 이삭을 번제로 드린다면 언약(약속)은 -“네 자손이라 칭할 자는 이삭으로 말미암으리라.”(18)- 또 어찌되는 것인가그는 3일 길을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하기 위해 올라가면서 생각했다이것이 히브리서 기자가 11장 17-19절에서 이야기하는 그대로다.

 

 

2. 아브라함하나님이 이삭을 다시 살리실 것을 생각하다.

     아브라함의 순종아들 이삭을 제물로 드리다.

 

모리아산에 가까이 이를수록 아들의 죽음이 가까워진다하나님이 분명 엘리에셀도 아니요(15.2), 이스마엘도 아닌(17.18-19), 마침내 약속의 후사인 아들 이삭을 주셨는데 듣도 보도 못한 인간 제물(제사)’을 명하신 것이다이 문제를 풀어내는 3일 길... 그게 모리아산으로 가는 길에 들어있는 아브라함이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하는 생각 신앙이다오늘 본문히브리서 기자의 증거(17-19)를 들어보자.

여기서 중요한 신앙적 용어 하나가 있다어떤 단어인가생각하다 아브라함은 엘리에셀이스마엘이삭으로 이어지는 진정한 상속자가 누구인지 생각한다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이것이 누구로부터 주어진 말씀인가를 생각한다그랬다아브라함의 믿음의 근거요 기초요 뿌리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바른 생각이다이 생각이 그의 믿음의 기초다이것이 자신을 믿고자신의 뜻을 이루기 위함이 아니라 하나님을 믿고그래서 하나님의 뜻하신 명령을 이루는 것으로 이어진다이렇듯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성품과 하나님되심 사이에 한치의 오차나 틈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알고 믿었고 확신했다.

 

아버지 아브라함은 아들 이삭이 하나님 앞에서 누구인가에 대한 분명한 이해(믿음)가 있었다신학적으로 말하면 계시의존사색(啓示依存思索)이다그는 자신의 생각 창고에 하나님의 말씀을 넣어본 것이 아니다오히려 그 반대다하나님의 말씀에다 자신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말씀(약속명령)을 넣어서 생각했다그러자 놀랍게도 말씀에서 답이 나온 것이다그리고 그것을 아브라함은 믿었다말씀이신 하나님을 자신보다 더 신뢰하고 믿은 것이다그렇게 해서 아들을 번제로 드리고사라에게서 난 자와 언약을 맺을 것이라는 말씀을 이룰 아들 이삭의 손을 잡고 모리아산을 내려올 수 있었다.

무엇이 이런 차이를 만들어 내는 것일까첫째하나님의 말씀을 신뢰하는 믿음으로 생각하는 일에 실패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둘째하나님의 말씀을 믿음으로 순종하는 일에 실패하고 있어서 그러는 것이 아닐까그러니 똑같이 3일 길이라는 하나님의 테스트그러니까 시험을 받지만 아브라함처럼 아들을 번제로 드리고또한 사라에게서 난 자와 언약을 맺을 것이라는 말씀을 이룰 아들 아삭의 손을 잡고 모리아산을 내려오는 부활을 경험하는 일을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정답은 매우 단순하고 간결하다말씀 안에 부활이 있고믿음 안에 다시 살리시는 일이 있고순종 안에 죽은 자 가운데서 도로 받는 기적이 일상이 되는 것이다.

부활은 예수님에게만 일어나는 유일한 기적이 아니다오늘 아브라함이 이를 생각과 말씀과 순종을 통해 부활의 영광을 맞이한다그러면 우리도 우리의 모리아산으로 가는 인생길에서 늘 새롭게 부활의 은혜를 맞이할 수 있다.

 

복음의 빛을 비출 때 드러나는 3가지 얼굴들

김충만 목사
20240707
사도행전 17.15-34

T-B-J type 교회와 사람들, 그 속에서 일어나는 일들

김충만 목사
20240630
사도행전 17.1-14

내가 빌립보교회 성도일 때 일어나는 일들

김충만 목사
20240623
사도행전 16.16-40[2]

빌립보교회, 그 개척이야기

김충만 목사
20240616
사도행전 16.16-40[1]

나의 길은 막히고, 주의 길은 열릴 때

김충만 목사
20240609
사도행전 16.6-15

복음이 할례라는 율법을 만났을 때

김충만 목사
20240602
사도행전 16.1-5

창세기의 가정(2)

김충만 목사
20240526
창세기 24.1-9

창세기의 가정(1)

김충만 목사
20240519
창세기 4.25-5.8

묵상론(11) - 하나님을 알아가는 묵상

김충만 목사
20240512
에베소서 4.13-16

묵상론(10) - 묵상대로: ④ 관주성경을 따라

김충만 목사
20240505
요한복음 3.16

묵상론(09) - 묵상대로: ③ 계시의 발전을 따라

김충만 목사
20240428
마태복음 5.17-26

묵상론(08) - 묵상대로: ② 특정 절을 따라

김충만 목사
20240421
창세기 49.22-26

묵상론(07) - 묵상대로: ① 단어를 따라

김충만 목사
20240414
요한복음 3.1-16-21

묵상론(06) – 여호와는 나의 목자(牧者)시니

김충만 목사
20240407
시편 23.1-6

아브라함, 말씀에서 이삭의 부활을 믿다.

김충만 목사
20240331
히브리서 11.17-19

사울 vs 다윗: ‘부르심 전후사’

김충만 목사
20240324
사무엘상 17.41-49

‘여자의 후손’ = 그리스도

김충만 목사
20240317
창세기 3.1-19

묵상론(05) – 묵상의 장애물(2)

김충만 목사
20240310
누가복음 24.1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