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Preaching)

사울 그 이후(2): 사울 죽이기

설교자
김충만 목사
설교일자
2023-10-15
성경본문
사도행전 9.23-31

1196주일 9.23-31

사울 그 이후(2): 사울 죽이기

 

사울이 그리스도 밖에 있을 때는 그리스도인들을 핍박했다그때 그는 그리스도인들과 함께 할 수 없었다그러나 이제는 그리스도 안에 붙잡힌 사울에게 그리스도 밖의 세력이 사울을 핍박한다한 걸음 더 나아가 이제 저들은 사울을 핍박하고 죽이려고 하는 사울 죽이기’(23,29) 음모를 꾸미기 시작한다.

 

 

사울 죽이기

다메섹핍박의 문이 열리다.

 

사울은 다메섹으로 가는 길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고 변하여 새사람이 된다하나님이 사울을 찾아오신 것이다이는 사울에게 임한 은총이라 이름하는 구원사건이다하나님은 먼저 그의 심령을 변화시키셨다그러자 그는 이전의 모든 것으로부터 돌아섰다하나님이 먼저 그를 부르시고 십자가 복음으로 만나주심으로서 이어서 회개의 자리로 나아간다.

그 결과 인생의 방향과 목적이 달라졌다사울은 핍박자로 다메섹을 향해 가고 있었지만그러나 정작 다메섹에 들어갔을 때는 전도자로서다핍박의 대상이었던 예수 그리스도였으나 이제는 그를 전파하는 증인으로 다메섹 백성들 앞에 서 있다예수를 믿는 자들을 결박하여 예루살렘으로 잡아오려고 갔던 다메섹이었다그런데 이제는 반대로 그가 예수를 믿는다는 것 때문에 이제는 유대인들이 사울을 죽이기를 공모한다(23-24,29).

그리스도 밖의 세상은 사울을 토사구팽(免死狗烹(“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를 잡아먹는다.”)한다이제 사울은 더 이상 그들에게 가치가 없는 사람이다세상은 자신의 목적 때문에 사울을 사용했지만그 목적이 수포로 돌아가자 이제는 그를 죽이려고 한다세상과 사탄은 언제나 그렇다그는 처음부터 거짓의 아비요(8.44), 할 수 만 있으면 믿는 자들도 미혹하려는 타락한 자이고복음과 진리의 원수이다(24.24).

 

 

사울 살리기

예루살렘동역의 길이 열리다.

 

자신을 죽이려 하는 세력 앞에서 사울의 심정은 어떠했을까그런데 그런 사울 곁에 항상 사람들이 있었다다메섹에 사는 유대인들(22)과 헬라파 유대인들(29)은 사울 죽이기를 공모한다(23). 이처럼 유대인들이 사울을 죽이려 할 때에 사도행전 9장의 분위기는 사울 살리기 쪽으로 이동한다과연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1] 먼저 사울의 제자들’(25)의 도움을 받게 된다유대인들은 사울 죽이기를 공모하지만 사울의 제자들은 사울 살리기를 도모한다(23 → 25). 회심 이후 이미 3년이 지난 지금그는 이미 자신을 따르는 제자들’(바울공동체그룹과 함께 할 정도로 지도력을 인정받고 있었다(1.11-24).

[2] 하지만 아직 예루살렘에 있는 제자(사도)들은 사울을 다 두려워하여 그의 제자됨을 믿지 아니하”(26b)던 그런 분위기였을 때다참으로 난감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바로 이때 이번에는 바나바가 사울을 돕는 자로 나선다(27). 하나님은 바울이 위기에 처할 때마다 신실한 종들을 그에게 붙여주신다앞에서 바나바(‘위로의 아들’)는 자신의 밭을 팔아 교회에 드리고서 전적으로 복음을 위해 헌신해 오고 있는 사람이다(5.36-37). 그는 평신도였으나 사도들에게 언행심사(言行心事모두를 인정받고 있었다이것은 그의 사울 변호가 그대로 받아들여지는 것을 볼 때 그렇다(27).

[3] 이렇게 해서 사울이 예루살렘에 있는 사도들(제자들)과 함께 하며 교제권을 형성하면서 가까운 훗날 안디옥교회의 파송을 받는 일에 기초를 놓게 된다(28, 13.1-3). 이처럼 한 사람 바나바의 아름다운 동역을 통해서 사울 죽이기의 위기를 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울아 예루살렘에 가서 제자들을 사귀고자 하나 다 두려워하여 그가 제자 됨을 믿지 아니하”(26)는 영적 기류까지 변화되어지고 만다이게 다 바나바(27)의 사울 살리기가 낳은 열매인 것이다.

[4] 마지막으로 형제들이다(30; 1.16 참조). 이들은 다메섹 → 예루살렘(19 → 26)에 이르기까지 사울 죽이기의 음모에 노출되어 있는 사울을 다시 예루살렘 → 가아사라 → 다소(300로 보냄으로써 사울 살리기에 힘을 보태는 사울의 동료들이다.

 

    “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좇을 것이니라.”(9.23)

 

사울 그 이후그러니까 다메섹 이후의 사울은 오히려 고난으로 시작된다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따르는 모든 제자들의 삶은 늘 그러하다사울 역시 이 고난의 길을 걸어간다인간적으로 볼 때 사울만큼 비참하게(?) 쓰임 받은 사람도 드물다그러나 이것이 제자의 소명이다(9.23).

그는 기꺼이 자신을 교회와 복음을 위해 살아있는 산 제사’(12.1)로 드린다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의 존재 가치를 발견하고그것을 위해 기쁨으로 생명을 바친다(7.59-60). 죽는 것이 영원히 사는 것임을 믿고그렇기에 그 어떠한 형편에서든 자족할 수 있는 일체의 비결을 배우며(4.11-12), 능력 주시는 주님 안에서 모든 것을 할 수 있다고 고백하며 살았다(4.13).

이렇듯 다메섹 이후그러니까 사울 그 이후는 세상이 감당치 못하는 사람으로 쓰임 받았다그렇다면 우리들 역시 변화된 그 이후예수 그리스도를 만난 그 이후즉 그러니까 하나님을 아버지라 부른 그 이후의 이력서가 사울처럼 있어야만 한다세상은 사울 죽이기였으나주님은 복음의 사람들을 통해 나를 살리신 은혜 말이다.

이처럼 사울이 바울 되어 쓰이기까지 그의 제자들’(25), 바나바(27), 사도들(28), 형제들(30)이 적절하게 합력하여 선을 이루고 있다아름다운 동역이다복 있는 주연 곁에는 이처럼 언제나 빛나는 동역자들이 있는 법이다이것이 교회의 모습이다바울만 그러는가아니다우리들의 인생도 그러하다.

오늘 함께 예배하는 성도들과 교회가 복되고 아름다운 것은 이 때문이다지금 예배자들에게 잠시 얼굴을 돌려보면 바로 옆에 그리스도 예수의 제자들이 있고바나바 집사와 같은 성도들이 있고함께 오늘 여기까지 교회를 섬겨온 복음의 형제 자매들이 보인다바울 살리기그러니까 교회 살리기성도 살리기의 아름다운 동역자들이다이와 같이 동역자들과 더불어 사도행전을 성취해가는 것을 보면서 건강한 공동체가 얼마나 아름답고 복된 선물인가를 알게 된다우리들 서로가 서로에게 그런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오늘 바울과 동역자들이 보여주는 성도의 모습이다주께서 사도행전을 통해 이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주시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그것이 무엇일까.

 

예루살렘과 안디옥, 서로 사랑하다!

김충만 목사
20231112
사도행전 11.19-30

이방인들에게도 복음을! 그리고 성령이!

김충만 목사
20231105
사도행전 10.24-48

율법 아래 있을 때 일어나는 일들!

김충만 목사
20231029
사도행전 10.9-23

고넬료행전(1)

김충만 목사
20231022
사도행전 10.1-8

사울 그 이후(2): 사울 죽이기

김충만 목사
20231015
사도행전 9.23-31

‘일용할 양식’을 구하는 기도

김충만 목사
20231008
마태복음 6.5-13[2]

아버지께서 바라는 것을 구하라.

김충만 목사
20231001
마태복음 6.5-13[1]

사울 그 이후(1): 아나니아가 주목 받는 이유

김충만 목사
20230924
사도행전 9.10-22

사울이 아직 죄인이었을 때에

김충만 목사
20230910
사도행전 9.1-9

성경: 누군가는 읽고, 누군가는 가르치고

김충만 목사
20230903
사도행전 8.26-40[2]

모든 성경은 예수를 증거한다.

김충만 목사
20230827
사도행전 8.26-40[1]

새신자 시몬 구하기

김충만 목사
20230820
사도행전 8.14-25

사울, 빌립, 시몬: 나는 누구인가?

김충만 목사
20230813
사도행전 8.1-13

너희도 구약처럼 실패하려느냐?

김충만 목사
20230730
사도행전 7.1-53

내가 죽고, 그리스도로 살고

김충만 목사
20230723
사도행전 6.8-15, 7.54-60

문제 안에 있는 해답

김충만 목사
20230716
사도행전 6.1-7

교회, 거룩에로의 부르심

김충만 목사
20230709
사도행전 5.1-16

교회: 말씀과 기도 안에서 교제하기

김충만 목사
20230702
사도행전 4.2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