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Preaching)

에베소: 성령의 임하심, 그 이후

설교자
김충만 목사
설교일자
2024-10-20
성경본문
사도행전 19.1-10[2]

1382주일 19.1-10(2)

에베소성령의 임하심그 이후

 

    “그러므로 깨어 있으십시오,

      내가 3년 동안을 밤낮으로때로는 눈물로 여러분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쉬지 않고 교훈한 것을 기억하십시오.”(20.31; 쉬운성경)

 

마침내 에베소의 제자들에게 사도행전이 증언하는 성령이 임하셨다(6). 그런데 이어지는 말씀이 8절이다성령이 오셨는데 왜 바울은 3개월이나(8), 다시 2년 동안이나(10), 이어지는 눈물로쉬지 않고(20.31), ‘하나님 나라에 관하여’ 강론하고 설득하는 기나긴 목회 시간을 가졌을까.

사도행전 1장 8절의 약속이 성취되었으니까, 그렇다면 에베소 역시 그리스도의 증인이 되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닌가그런데 왜 바울은 이처럼 수고하는 것일까이것이 다시 8절 이하를 주목하는 이유다.

 

 

성령의 임하심그 이후

 

그렇다면 앞서 사도행전에 성령이 임하실 때그 이후는 어떠했는가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

[1] 약속하신 성령이 마침내 사도행전에 임하신 때다이것이 사도행전 2장이다.

[2] 사도행전 10장에서 마침내 성령이 이방인(헬라인)에게 임하신그러니까 이번에는 베드로가 백부장 고넬료의 집에서 설교(10.23b-33 → 34-43)를 할 때에 성령이 말씀 듣는 모든 사람에게 내려오”(44)셨고이어진 것이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푼 것이 전부다(47-49).

[3] 바울이 에베소에서 복음을 전하며 전도하자 성령이 그들에게 임하신다(6). 그런데 성령이 임하였는데 그 이후가 앞서 사도행전 2장과 10장과는 좀 다르다. 그러니까 성령이 임하셨는데 이어지는 것이 8-10절이다왜 8절 이하일까그것도 이어서 3개월 동안이나 8절이다이것도 모자라서였을까무려 2년 동안이다(10a). 나중에 에베소 장로들을 밀레도에 초대해 놓고서 그들에게 전한 마지막 고별설교에는 이렇게 되어 있다: “내가 3년이나 밤낮 쉬지 않고 눈물로 각 사람을 훈계하던 것을 기억하라.”(20.31)

 

처방과 비전(8-10): 온전한 사람으로 세우라!

 

바울은 2장과 10장과는 다르게 성령님의 임하심 이후를 이어가고 있을까? 바울은 이 여세를 몰아 3개월이나 하나님의 나라 복음을 증거했지만그랬음에도 어떤 사람들은 마음이 굳어 순종하지 않고 무리 앞에서 이 도를 비방하거늘”(9a)처럼 냉담한 반응을 보인 곳이 에베소다. 12명의 성도들에게 임하신 성령님의 분명한 증거가 에베소 앞에 펼쳐 보여지고 있음에도 말이다만만치 않은 영적 분위기다바울이 전도해도 이럴 수 있다하지만 다른 곳에서보다는 대단히 긴 3개월이나 헌신한 것 아닌가(8). 그럼에도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로의 초대 앞에 서는 은혜라는 결과가 만들어지는 것까지는 쉽지 않은 도전이었다물론 기존의 제자(성도)들이 영적으로 성장한 것은 있었으나(1-7), 하지만 새로운 성도들이 복음 앞에 결신하게 되는 일에 대해서는 특별한 보고가 없다(8-9a).

이것이 바울의 새로운 선교 전략이다(9b-10). 그는 3개월의 수고가 헛되게 되지 않도록 한다또한 무턱대고 비방하는 무리들과 기약 없는 토론과 변론에 시간을 쓰지도 않는다그럼 무엇인가바울은 그들을 떠나 제자들을 따로 세우고 두란노서원에서 날마다 강론하니라두 해 동안 이같이”(9b-10a) 전력을 다 해 제자훈련에 전념한다.

사과 열매 하나를 따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과나무를 심는 일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몸소 실천한 것이다그랬기 때문에 3년을 하루같이 제자삼기(목회)에 심혈을 기울인 것이다(20.31). 참으로 길고 긴 장기 사역이었다. 18장에서 바울은 1년여 전에 지나가는 길에 자신이(18.18-21),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부부가그리고 아볼로가 각각 뿌려 놓았던 복음의 씨앗들이 뿌리를 내리고 자라 알곡으로 열매맺을 것을 믿었다그래서 날마다 밤낮 쉬지 않고 눈물로 각 사람을 훈계하”(20.31)면서 3년을 하루같이 에베소교회를 위해 헌신해야만 하는 것이 성령이 임하신 이후의 몫이다그렇게 세워진 교회가 에베소교회다(20.17-38): 나는 예수를 믿어 증인이 된 이후부터 지금까지 어떻게 살아왔는가?’

 

    “보혜사 곧 아버지께서 내 이름으로 보내실 성령

      그가 너희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시고

      내가 너희에게 말한 모든 것을 생각나게 하리라.”(14.26)

 

다시 기초적인 것을 생각해 본다성령님이 임하시지 않고는 사도행전적 신앙을 따라 살아가는 자가 아니다무릇 사도행전을 무대로 삼아그리고 그 후예로 살아가려면 반드시 성령님과의 인격적인 만남과 교제가 선행되어야 한다이것은 주님이 복음서에서 이미 약속하신 내용이기도 하다(14.16-21,25-26, 15.26-27, 16.7-15).

사도행전에서 주님과 복음을 위해 사는 사람들의 가장 큰 공통분모는 성령님이 임하신 것에서 시작된다그래서 사도행전은 성령행전이다따라서 성령님의 인도를 따라 살지 않은 자들에게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그뿐 아니라 성령이 임하지 않는 자들은 오히려 복음을 거부하고전도자들을 핍박하고교회를 어지럽게 만드는 것 밖에 한 일이 없다그렇다면 성령이 임하신 이후의 나는 어떤가?’

주님을 믿고 살아가던 어느 날 성령님은 에베소교회에 임하셨다오늘 본문의 12 제자들 역시 마찬가지다(7). 잘 보면사도행전의 사람들 그 누구도 예수님에 대해성령님에 대해 듣지 못하고 알지 못하여 무지할 때에그런 자들에게 성령이 임하신 경우는 없다복음을 듣고그래서 죄를 회개하고또한 들음을 통해서 믿음이 생기고하나님과 진리와 생명에 대한 촉과 감각이 생겨서 주님을 바라보며 하나님이 심판하실 악하고 추한 죄악을 회개하는 자들에게 성령님은 오셨다지금 우리가 그렇다.

하지만 이처럼 성령님이 임하셨다고 해서 그것으로 신앙의 성장과 성숙이 전부 다 완성되는 것 또한 아니다그래서 성령님의 임하심 그 이후의 신앙에서 중요한 것은 8-10절과 같은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다성령님이 임하심으로 이제는 구원 받은 자로서 성령님 안에 살아가는 자일지라도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배우고믿고그리하여 하나님을 아는 지식에서 자라가는 것은 필수적인 과정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그 누구도 자동적으로 신앙이 성장하거나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이것이 에베소교회가 3년이나 바울의 목회를 통해서 제자훈련을 받을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주의 구원의 길을 준비하라!

김충만 목사
20241215
누가복음 1.57-80

바울의 간증, 나의 간증

김충만 목사
20241208
사도행전 21.37-22.29

흔들리면서도 배 안에 있다(1).

김충만 목사
20241201
사도행전 21.17-36

주의 뜻대로 이루어지이다!

김충만 목사
20241124
사도행전 21.1-16

바울은 심었고, 에베소는 자라고

김충만 목사
20241117
사도행전 20.13-38

밤중까지 계속된 예배, 은혜로다!

김충만 목사
20241110
사도행전 20.1-12

에베소는 지금 ‘영적전쟁’ 중이다.

김충만 목사
20241103
사도행전 19.11-22

인생 끝을 은혜로 잇게 하려면

김충만 목사
20241027
마태복음 24.1-14

에베소: 성령의 임하심, 그 이후

김충만 목사
20241020
사도행전 19.1-10[2]

에베소: 성령의 임하심, 그 이전

김충만 목사
20241013
사도행전 19.1-10[1]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김충만 목사
20241006
사도행전 18.18-28

복음, 고린도를 살리다!

김충만 목사
20240929
사도행전 18.1-17

신수성가(5): 주 예수를 믿으라!

김충만 목사
20240922
사도행전 16.19-34

신수성가(4): 혈통 vs 은혜

김충만 목사
20240915
출애굽기 12.37~42

신수성가(3): 야곱의 12 아들들

김충만 목사
20240908
창세기 35.23-26

신수성가(2): 에서 vs 야곱

김충만 목사
20240901
창세기 25.19-26

신수성가(1): 이스마엘 vs 이삭

김충만 목사
20240825
창세기 16.15-16, 21.1-7

샘 곁의 가지

김충만 목사
20240721
창세기 49.2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