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Preaching)

십자가의 영성(2)

설교자
김충만 목사
설교일자
2025-04-13
성경본문
마 27.41-44, 눅23.32,39-43

1425주일 27.41-44, 23.32,39-43

십자가의 영성(2)

 

십자가를 지고 골고다로 오르는 사람들이 있다예수님 혼자가 아니다무려 네 사람이다. [1] 예수님이다. [2] 십자가를 대신 지고 간 구레네 시몬이다(26). [3-4] 십자가를 지고 가는 두 행악자들곧 강도들이다(23.32,39-42). 한편 구레네 시몬[2]은 예수님의 십자가를 잠시 지고 간 것이고다른 세 사람은 십자가에 달려 죽는다.

 

십자가에 달린 두 행악자들

 

십자가에 달려 죽을 수 밖에 없을 만큼 분명한 죄인으로 정죄되어 죽게 된 두 강도가 등장한다(27.38, 23.32). 특별한 것은 이들은 생()의 마지막을 각자 달린 십자가 위에서무엇보다 놀랍게도 주님과 함께 그 자리에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마태복음 27장은 여기까지다그런데 예수님과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강도 두 사람은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과 장로들과 동일하게 예수 그리스도를 희롱하며 욕을 한다(27.42-43).

하지만 누가복음이 전하는 소식은 마태복음의 시간 이후에 일어난 놀라운 일이 일어난다(23.39-43). 이때 한 강도는 계속해서 네가 그리스도가 아니냐 너와 우리를 구원하라.”(23.39)라며 여전히 주님을 비방하고 있다하지만 다른 한편 강도는 주님 앞으로영원한 생명을 얻은 자로 회개하는 것과 함께 돌아온다(23,40-42). 놀랍다사실 둘 다 죄인이다그러기 때문에 둘 다 십자가에 달린 주님 곁에 함께 십자가에 달려있다이처럼 같은 시간과 장소에무엇보다 십자가에 달린 주님과 같은 모습으로 십자가에 달려있다하지만 우편 강도와 좌편 강도의 결말은 극과 극이다하지만 우리의 관심은 무엇이 이들의 차이를 만든 것일까에 있다.

이들은 꺼져가는 생의 마지막 지점에서 자기 옆에 달리신 예수 그리스도를 보았다그리고 얼마 되지 않은 시간 동안에 그 자리에서 고난 받으시며 온 몸과 언행(言行)으로 쏟아내시는 예수님의 말씀(23.28-31,34  소리’, 23.23)을 들었다그런데 그 말씀을 통해 비로소 자기 자신을 보게 된 것이다그리고 거기서 기꺼이 주님께 응답한다: “예수여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에 나를 기억하소서!”(23,42)

그런데 두 강도 모두가 이처첨 회개한 게 아니다두 사람은 서로 달랐다한편 강도는 비방(誹謗)과 독설을 쏟아낼 뿐이다(23.39): “네가 그리스도가 아니냐 너와 우리를 구원하라.” 하지만 또 다른 한 강도는 자신의 죄 값에 대한 마땅한 고백을 토해낸다: “우리는 우리가 행한 일에 상당한 보응을 받는 것이니 이에 당연하거니와”(23.41a). 그러나 더 놀라운 것은 그는 자신의 고백을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무엇인가놀랍게도 예수님의 죄 없으심에 대한 분명한 신앙고백을 토해 낸다(23.41b): “이 사람이 행한 것은 옳지 않은 것이 없느니라.”

자신의 죄 값으로 죽어가는 형벌의 자리에서다바로 그 자리에서 주님의 긍휼(구원)을 바라보는 한편 강도의 고백과 회개가 놀랍기만 하다이 대목에서 좀 더 깊이 생각해 보고자 한다지금 주님은 온 인류의 죄를 대신 감당하시기 위해 십자가를 지고 골고다에 오르셨다그리고 바로 그곳에서 십자가에 못 박혀 모든 피와 물을 다 쏟고 계시는 중()이다.

이것은 단지 드라마나 퍼포먼스가 아니다그럼 무엇인가지금껏 십자가 형벌에 따라 죽어갔던 죄인들과는 근본적(본질적)으로 다른 구원사건이 성취되고 있는 때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로 그 현장에 있었던 사람들은 모두가 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이 의미하는 것을 알지 못한다그렇기에 모두가 다 비웃음과 조롱과 비방으로 구원의 문으로부터 멀어지고 있었다: “저가 남은 구원하였으니 만일 하나님이 택하신 자 그리스도이면 자신도 구원할지어다!”(23.35)

 

십자가의 영성

 

두 강도는 모두 동일한 시간과 장소에서동일한 사건을 통과해 가고 있다중요한 것은무엇보다 유일하신 주님으로부터 일어나는 구원사건을 목도하면서 주님이 외치시는 복음을 듣고 있는 중이다하지만 반응에서는 분명하게 둘로 나누인다.

이때 주님은 그 고통 중에서도 회개하는 한편 강도의 고백을 외면하지 않으신다(23.43):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아멘이다분명 십자가에 달려있는 중이다그러니까 이 강도는 어떤 행위도공로도선행도구원을 받게 될 만한 그 어떤 조건을 더 할 수 있는 기회도 시간도 지불할 형편이 못되었다이미 십자가에 달려 죽음을 기다리고 있는 시간이었다그런 강도가 구원을 선물로 받아죽지만 그 이후에 지옥이 아닌 낙원에 있게 된다고이건 또 무엇이란 말인가.

여기서 우리는 구원 받은 강도 뿐만 아니라 우리들 모두가 다 무엇으로어떻게누구 때문에 구원의 은혜를 선물로 받았는가를 알 수 있다구원은 인간의 공로나 선행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로마서 4장 1-8절 말씀을 읽어보도록 하자:

 

    [로마서 4.1-8]

    1 그런즉 육신으로 우리 조상인 아브라함이 무엇을 얻었다 하리요

    2 만일 아브라함이 행위로써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면 자랑할 것이 있으려니와

       하나님 앞에서는 없느니라

    3 성경이 무엇을 말하느냐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매 그것이 그에게 의로 여겨진 바 되었느니라

    4 일하는 자에게는 그 삯이 은혜로 여겨지지 아니하고 보수로 여겨지거니와

    5 일을 아니할지라도 경건하지 아니한 자를 의롭다 하시는 이를 믿는 자에게는

       그의 믿음을 의로 여기시나니

    6 일한 것이 없이 하나님께 의로 여기심을 받는 사람의 복에 대하여 다윗이 말한 바

    7 불법이 사함을 받고 죄가 가리어짐을 받는 사람들은 복이 있고

    8 주께서 그 죄를 인정하지 아니하실 사람은 복이 있도다 함과 같으니라

 

그렇다모든 사람은 다 자신의 공로와 행위와 선행을 행하는 것을 통해 구원을 받는 것이 아니다다 회개하고 복음을 받아들인 한편 강도처럼이다값없이 은혜로 받은 선물이다. “우리가 아직 죄인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 대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5.8)기 때문에 그 은혜로 말미암아 믿음으로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와 구원을 얻게 된 것이다오늘 한편 강도는 이 사실을 생생하게 알려준다.

 

오늘도 이처럼 은혜로 열어 놓으신 주의 십자가 앞으로 나아간다그렇게 십자가에서나 위하여 다 내어주신 주님의 살과 피를 기념하며 성찬상 앞으로 나아간다값없이 받은 은혜공로 없이 받은 구원은혜로 받은 생명십자가로 말미암아 주신 거듭남이라는 선물을 오늘도 죄인의 빈 손을 내밀어 이 은혜의 선물을 받아든다그렇다면 이제 내가 응답할 차례다주께서 생명 다 해 주신 이 사랑을 나는 무엇으로 보답할 수 있을까다시 십자가 앞에 무릎을 꿇는다.

  

하나님의 사랑(1)

김충만 목사
20250427
로마서 8.31-39

성경대로 죽으시고, 성경대로 다시 살아나사

김충만 목사
20250420
고린도전서 15.1-11

십자가의 영성(2)

김충만 목사
20250413
마 27.41-44, 눅23.32,39-43

십자가의 영성(1)

김충만 목사
20250406
마태복음 27.27-44

제자의 영성

김충만 목사
20250323
마태복음 26.47-75

기도의 영성

김충만 목사
20250309
마태복음 26.31-46

성찬의 영성

김충만 목사
20250302
마태복음 26.17-30

향유 한 옥합을 주께 드린 여인처럼!

김충만 목사
20250223
마태복음 26.1-16

벨릭스 ‘전도행전’ 보고서

김충만 목사
20250216
사도행전 24.10-27

더둘로처럼 살지 않아야 할 이유들

김충만 목사
20250209
사도행전 24.1-9

로마행전, 믿음이 이긴다.

김충만 목사
20250202
사도행전 23.12-35

주님께서 세운 교회

김충만 목사
20250126
시편 78.70-72

오늘은 예루살렘, 내일은 로마

김충만 목사
20250119
사도행전 22.30-23.11

여호와께서 행하시는 구원을 보라.

김충만 목사
20250105
출애굽기 14.1-14

임마누엘의 영성(3): 부르심 앞에서

김충만 목사
20241231
이사야 6.1-5

임마누엘의 영성(2): 인생의 후반전에서

김충만 목사
20241229
이사야 7.10-17

임마누엘의 영성(1): 인생의 광야에서

김충만 목사
20241225
마태복음 1.18-25

예수는 그리스도다.

김충만 목사
20241222
누가복음 2.2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