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Preaching)

기도⑤: 백부장의 기도

설교자
김충만 목사
설교일자
2021-08-08
성경본문
마태복음 8.5-13

676주일 8.5-13

기도백부장의 기도

 

     백부장 주여 내 하인이 중풍병으로 집에 누워 몹시 괴로워하나이다

                   다만 말씀으로만 하옵소서

     예수님 이스라엘 중 아무에게서도 이만한 믿음을 만나보지 못하였노라

                   가라 네 믿은 대로 될지어다

 

산상수훈을 통해 기도에 대해 주신 말씀([1] 6.5-13, [2] 7.7-12)을 주목한다. 8장에서는 바로 이 기도의 말씀대로 기도한 사람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산상수훈이 말씀하는 기도를 실재 삶의 자리에서 맛보는 것이것을 가능케 하는 길이 보인다.

 

산상수훈의 기도(The Message)

 

[1] 6.5-13

또 너희가 하나님 앞에 나아갈 때도 연극을 하지 마라그렇게 하는 사람들은 다 스타가 되기를 꿈꾸며 기도할 때마다 를 일삼는다하나님께서 극장 객석에 앉아 계시다는 말이냐? 6 너희는 이렇게 하여라하나님 앞에서 연극하고 싶은 유혹이 들지 않도록조용하고 한적한 곳을 찾아라할 수 있는 한 단순하고 솔직하게 그 자리에 있어라그러면 초점이 너희에게서 하나님께로 옮겨지고그분의 은혜가 느껴지기 시작할 것이다. 7 세상에는 이른바 기도의 용사들이 가득하나그들은 기도를 모른다그들은 공식과 프로그램과 비결을 잔뜩 가지고서너희가 바라는 것을 하나님에게서 얻어 내는 방법들을 퍼뜨리고 있다. 그 허튼소리에 속지 마라. 8 너희가 상대하는 분은 너희 아버지이시며그분은 너희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너희보다 더 잘 아신다그저 단순하게 기도하면 된다.

 

[2] 7.7-12

하나님과 흥정하지 마라솔직하게 말씀드려라필요한 것을 구하여라. 8 우리는 쫓고 쫓기는 게임이나 숨바꼭질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9 너희 아이가 빵을 달라고 하는데톱밥을 주면서 아이를 속이겠느냐? 10 아이가 생선을 달라고 하는데살아있는 뱀을 접시에 담아 아이에게 겁을 주겠느냐? 11 너희가 아무리 악해도 그런 생각을 하지 않을 것이다너희도 자기 자식에게는 최소한의 예의를 지킨다그렇다면너희를 사랑으로 잉태하신 하나님은 그보다 휠씬 낫지 않으시겠느냐? 12 여기간단하지만 유용한 행동 지침이 있다사람들이 너희에게 무엇을 해주면 좋겠는지 자문해 보아라그리고 너희가 먼저 그들에게 그것을 해주어라하나님의 율법과 예언자들의 설교를 다 합한 결론이 이것이다.

 

기도란 무엇인가?

 

기도는 기도하는 자신을 믿는 게 아니다기도는 우리의 기도를 들으시며 응답하시는 기도의 주인이신 예수님을 믿는 것이다예수님은 산상수훈에서 기도의 결과를 기도하는 사람이 만들어 낸다고 생각하며 기도하는 자를 경계하셨다.

주님은 백부장의 기도(고백)를 인정하셨다그렇다면 이 기도는 앞서 산상수훈에서 말씀하신 바로 그 기도([1], [2])그의 기도는 또한 주님이 인정하시는 믿음이다그의 믿음은 결코 화려하지도 않고큰소리도 아니며자기가 얼마나 큰 확신을 가지고 있는가를 드러내는 것도 아니다철저하게 산상수훈의 기도에동시에 주님께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앞서 산상수훈에서 주께서 말씀하시는 기도와 일치한다그러니까 주님이 인정하시는 기도는 역시 주님이 인정하시는 믿음이다기도가 바른 믿음이 되고믿음이 바른 기도가 된다.

성경 어디에도 내가 믿었기 때문에그러니까 내가 기도했기 때문에 그것이 원인이 되어 어떤 결과가 이루어졌다고 말하지는 않는다그것은 산상수훈이나 기독교가 아니라 이방 종교에서 접근하는 방법론이다기도하는 사람의 믿음은 나를 믿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믿는 것이다이러한 초점과 우선 순위가 바뀌면바로 그 순간부터 기도가 연극이나 쇼나 이벤트로 왜곡되고 변질되기 시작한다내가 원하고 필요로 한 것의 결과를 만들어 내는 일에 어떤 공로를 했다고 생각하는 순간그러니까 내가 기도의 능력이 역사한다는 생각을 갖는 순간 성경이 말하는 기도의 본질에서 이탈한다.

기도는 생각 보다 훨씬 단순하다예수님이 말씀하신 것이 구하라찾으라문을 두드리라는 것이 기도이고그래서 아멘!’하고서 그 말씀대로 단순하게 행하는 것이 기도다그리하면 그것의 실상을 보는 것이다기도는 기도하는 사람의 능력이나 애씀이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다.

 

네 믿은 대로 될지어다!

 

중풍병에 걸린 하인을 둔 백부장은 예수님이 기도에 대해 말씀하신 것처럼그 말씀을 단순하게 믿고그 믿음에서 기도를 한다백부장이 복된 것은 복음을 듣고그 다음에 그 복음을 믿고그리고 주님 앞으로 나아왔고그리고 이 복음을 믿는다는 것을 입으로 시인하여 기도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 기도를 자신이 아니라 죽어가는 하인을 위해 사용한다재미난 것은 중풍병에 걸린 하인이다(6). 그가 고침을 받는 것은 자기 주인인 백부장의 믿음에 의한 기도 때문이다: “네 믿은 대로 될지어다 하시니 그 시로 하인이 나으니라.”(13)

여기서 매우 중요한 신앙의 원리를 하나 발견하게 된다: “나의 기도가 너의 문제를 해결한다동시에 나의 믿음이 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이곳(가버나움믿음; 5)에서 기도하면 저곳(응답; 6)에서 문제가 해결된다이곳에서 믿으면 저곳에서 문제가 해결되고 응답된다.”

 

백부장처럼 기도를 믿음으로믿음을 기도로 행하며 살자나 한 사람 바르게 믿으며 이를 기도로 이어가며 살면동시에 나 한 사람이 바르게 기도하며 이를 믿음으로 이어가며 살면 다른 사람이 나 때문에 복을 받는다이것이 산상수훈이 말씀하는 기도이고 믿음이다([2] 7.12). 이렇게 살아야 한다산상수훈(山上垂訓)을 받았다면 이제부터는 그 말씀대로 사는 믿음이고 기도여야 한다.

백부장은 주님의 복이 하인에게 흘러가게 한다축복의 통로가 된 셈이다그는 주님으로부터 이스라엘 중 아무에게서도 이만한 믿음을 만나 보지 못하였노라”(10b)는 인정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이 믿음의 기도를 통해서 다른 사람을 복되게 하는 일에 쓰임을 받는다기도로 이어지고 있고 아름다움 믿음의 향기가 아닐 수 없다.

모두가 다 자기라는 우상에 빠져 오직 자신의 배를 불리기 위해 혈안이 되어 살아가는더욱 믿음마저도 이처럼 세속적인 기도를 드리는 도구로 전락시킨 지 오래인 이 때에그러니까 기도마저도 이처럼 세속적인 믿음으로 전락시킨 지 오래인거기에 익숙해진 때를 살아간다그런데 바른 믿음도 단순한 기도도 찾아보기 어려운 때에 이처럼 다른 사람을 위해 주님의 눈높이에 맞춘 믿음의 기도를 드리는 것믿음을 따라 사는 것이 얼마나 귀한 간증인지 모르겠다.

 

   

교회, 섬기는 공동체

김충만 목사
20230219
누가복음 8.1-3

‘기름부음 받은 자’로 살기

김충만 목사
20230205
시편 2.1-12

52 세상이 성경에 대해 질문해 올 때에

김충만 목사
20230129
마태복음 22.34-46

51 세상이 복음을 흔들 때, 그래도 십자가 곁인가?

김충만 목사
20230122
마태복음 22.15-33

성경, 예수 구원의 말씀입니다.

김충만 목사
20230115
누가복음 24.44-49

[선교주일] 선교, 예수님의 증인입니다.

김충만 목사
20230108
사도행전 1.6-11

[신년주일] 양무리행전 29장을 시작합니다.

김충만 목사
20230101
사도행전 28.17~31

[송구영신] 입술을 축복의 통로로 삼으십시오.

김충만 목사
20221231
시편 12.1-8

[성탄주일] 말씀을 이루는 삶, 성도의 소명이다.

김충만 목사
20221225
마태복음 2.13-23

50 천국 잔치에로의 초대

김충만 목사
20221218
마태복음 22.1-14

49 소탐대실(小貪大失): 악한 농부와 포도원

김충만 목사
20211212
마테복음 21.33-46

주의 품에 안기어 살아간다 할지라도

김충만 목사
20221204
시편 40.1-17

48 맏아들 vs 둘째 아들: 아들입니까?

김충만 목사
20221127
마태복음 21.23-32

[추수감사주일] 감사선언서

김충만 목사
20221120
누가복음 13.6~9

<46> 성전다움을 회복하십시오.

김충만 목사
20221030
마태복음 21.12-17

<45> 예루살렘, 호산나! 호산나!

김충만 목사
20221016
마태복음 21.1-11

<44> 십자가, 섬김이 답이다.

김충만 목사
20221009
마태복음 20.17-34

하나님의 궤를 내게라고?

김충만 목사
20221002
사무엘하 6.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