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Preaching)

예수 그리스도가 복음이다.

설교자
김충만 목사
설교일자
2023-12-10
성경본문
사도행전 13.13-43

1236주일 13.13-43

예수 그리스도가 복음이다.

 

바울과 바나바는 구브로(4)에서 비시디아 안디옥(14)으로 가는 중이다한편 핍박자 사울(7.58-9.2)이 회개하고(9.3-19a) 전도자 바울(9.19b- )이 되었다본문은 그 핍박자가 전도자가 되어마침내 사도행전에서 전한 사도 바울의 첫 번 설교다(16-41). 이것은 말하자면 설교자로서 공식적으로 사도행전에 등장하는 순간이다그렇다면 이 설교는 그가 어떤 사람인가를 알 수 있는 시간이다그리스도께서 핍박자였을 때 그를 9장에서 부르셨는데 과연 지금 바울은 어떤 사람인가가 드디어 알려지는 순간이다.

 

 

하나님이 하신 일들 구 약(16-22)

 

바울의 첫 번째 설교는 철저하게 하나님 중심이고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에 초점을 맞춘다아브라함(선택, 17) → 다윗(세움, 22)까지 구약의 역사를 정리하면서특별히 다윗을 두고 내 뜻을 다 이루게 하리라.”(22b) 하신 약속의 성취로 오실 메시야를 바라보게 한다하지만 이 일이 이루어지기까지, ‘광야교회’(7.38) 때부터 하나님은 이를 거역하는 이스라엘을 오래 참으셨다(17-18).

이처럼 참으시면서 아브라함과의 언약의 성취로서 가나안을 주시고구원자 사사를 계속해서 주셨다그럼에도 이스라엘은 하나님을 버리고 세상 나라들처럼 왕을 구한다(19-21). 이번에도 하나님은 이스라엘이 구한 왕을 주셨다그러나 사울을 폐하시고이번에는 다윗을 왕으로 세우신다.

구약의 역사는 이처럼 아무 자격과 공로 없는 불의(不義)한 자기 백성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으시고 오래 참으심으로 자비를 베푸시는 하나님의 사랑에 기초한다하나님은 이스라엘의 죄에 대해서 참으신다하지만 놀랍게도 가나안의 일곱 족속의 죄는 심판하신다그리고 계속해서 주시기까지 … 주셨으니 … 주셨다가”(19-21)로 오래 참으심이라는 사랑을 이어가신다이처럼 오직 당신의 신실하심에 의지하여 하나님의 뜻을 다 이루시기까지 약속’(언약)을 지키신 것이다이것이 구약이고그 속에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이시다이스라엘이 잘나고거룩하고깨끗해서가 아니다이 얼마나 놀랍고 위대하신 구약의 하나님이신가.

 

 

하나님이 하신 일들 신 약(23-41)

 

오늘 우리가 말씀을 읽고 묵상하고 있는 이 신약이 있게 된 것도 마찬가지다세상과 우리의 허물과 죄를 그것대로 집행하지 않으신 아버지의 사랑하심 때문이다이것 없이는 약속의 미래로 가는 길을 계속 이어갈 수는 없다그리하여 때가 차매’ 이처럼 신약이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성취된다.

하나님은 이 약속대로 예수님을 보내셨다(23). 이스라엘은 구약처럼 살았지만하나님은 그럼에도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주셨다이를 세례 요한이 앞서 증거한다(24-25). 하지만 더 먼저는 구약(선지자들)을 보내셨으나 정작 그들은 자신들이 외치는 진리를 알지는 못하였고(26-27), 그래서 십자가에서 하나님의 아들 메시야 그리스도를 죽게 했다하지만 하나님이 그를 다시 살리심으로써 선지자들의 말을 다 응하도록 섭리하셨다(28-30). 이처럼 예수님은 구약 예언의 성취자이시다(32-35, 2.7, 16.10, 55.3).

구약의 약속을 신약을 통해그러니까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정리한 다음에 바울이 얘기하고자 한 것은 이것의 결론과 같은 그러므로’ 이후다(38-41). 그는 죄사함의 복음을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선포한다인간은 구약이 선포한 율법의 행위나 의()를 통해서 구원을 얻을 수 없다왜 그런가그것은 오직 온 인류의 모든 죄를 다 지시고 십자가에서 죽으신 주님을 믿는 것만이 의롭다 하심을 얻게 되기 때문이다오직 예수님만이 죄사함과 의롭다 함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이것을 성경은 이처럼 선언한다: ‘모세의 율법으로 너희가 의롭다하심을 얻지 못하’(39a)였다이것이 바울 복음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전하는 복음이다생각보다 결론은 매우 단순하다: ‘만약 이 복음을 거부한다면 선지자들이 전한 저주의 대상이 될 수 밖에 없다.’(40-41, 1.5)

 

바울의 설교에 대한 유대인들의 반응은 수용적이고 긍정적이다다음 안식일에도 이 말씀을 설교해 달라는 부탁으로 설교에 반응한다(42). 그렇다면 바울의 설교가 저들에게 전달되었다는 뜻이다많은 사람들이 사도들을 따르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비시디아 안디옥은 이렇게 해서 복음의 빛 안에서 깨어난다저들은 사도들과의 교제를 계속하면서 항상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있으라!”(43b)는 권면과 함께 복음을 나눌 수 있는 관계를 맺는다복음은 서로 대화와 권면을 낳고가르침과 가르침을 받는 영적인 질서가 형성됨으로써 마침내 비시디아 안디옥에도 교회가 세워지게 된다.

설교가 마쳐지고 그 모임이 끝난 후에도 아름다운 만남이 계속되는 것이 놀랍다(43a). 바울과 비시디아 안디옥 사람들 사이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있고이를 증거한 설교가 있다그리고 이 말씀은 사람들을 변화시켰다그러자 하나님을 그리워하며그분을 만나고그분의 말씀을 다시 듣는 것을 기다리게 만든다.

이것이 무엇으로 되어졌는가설교 곧 신구약을 관통하는 하나님의 말씀이다여기서 사도는 오직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승부한다그는 다른 어떤 것으로 저들을 사로잡으려 하지 않는다복음만으로 하나님의 일을 하기로 작정한다그리고 그대로 행한다그러자 하나님은 저들의 마음을 감동하사 복음 앞에 항복하도록 저들의 심령에 말씀으로 찾아가신다바울에게는 그 어떤 기교도수사학적 화려함도청중과의 타협도복음을 약간 상황에 적응시키는 물타기 같은 그런 인간적인 것이 없다복음 앞에 순전하고 정직하게 선다.

이것이 전도자요 설교자의 몫이 아닐까이것이 우리의 모습이어야 하지 않을까바울을 통해 알게 된 비시디아 안디옥에 세위진 교회를 통해 주님은 오늘 우리에게 우리가 섬기는 교회를 바라보게 하신다바울이 비시디아 안디옥 앞에 서는 방식으로 우리도 그리하고 있는가우리는 우리 손과 마음과 입술에 무엇을 들려 있는가우리는 사도행전적 교회를 계승하고 있는가.

 

 

묵상론(04) – 묵상의 장애물(1)

김충만 목사
20240303
창세기 3.1-13

묵상론(03) – 느헤미야의 묵상

김충만 목사
20240225
느헤미야 5.1-13

묵상론(02) – 묵상이란 무엇인가?

김충만 목사
20240218
에베소서 4.13-16

묵상론(01) – 묵상(QT)이란 무엇인가?

김충만 목사
20240211
여호수아 1.8-9

율법은 정죄하고, 복음은 품고

김충만 목사
20240204
사도행전 15.12-21

은혜 안에 있는 해답

김충만 목사
20240128
사도행전 15.1-11

주께 드리는 1차 선교보고서

김충만 목사
20240121
사도행전 14.19-28

지금은 누가복음의 선교처럼

김충만 목사
20240114
누가복음 8.1-3

고난과 영광, 그 사이에서

김충만 목사
20240107
사도행전 14.1-18

믿음의 명문가문(名門家門)

김충만 목사
20231231
창세기 50.22-26

창세기에 심고, 출애굽기에서 거둔다.

김충만 목사
20231231
창세기 50.22-26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 사랑!

김충만 목사
20231225
로마서 5.12-21

말씀대로 이루어질 것을 믿습니다!

김충만 목사
20231224
누가복음 1.26-56

복음, 그 부르심에 응답하라!

김충만 목사
20231217
누가복음 1.1-25

예수 그리스도가 복음이다.

김충만 목사
20231210
사도행전 13.13-43

제1차 선교행전 스타트

김충만 목사
20231203
사도행전 13.1-12

보이는 위기, 보이지 않는 섭리

김충만 목사
20231126
사도행전 12.1-25

울 때가 있으면, 웃을 때도 있다.

김충만 목사
20231119
시편 126.1-6, 누가복음 8.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