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Preaching)

50 천국 잔치에로의 초대

설교자
김충만 목사
설교일자
2022-12-18
성경본문
마태복음 22.1-14

991주일 22.1-14

천국 잔치에로의 초대

 

하늘 나라는 자기 아들을 위해 결혼 잔치를 베푸는 왕과 같다.”(2, 우리말성경)

 

청함 받은 사람들1(1-7): 잔치에 오기를 싫어하다.

 

혼인잔치에는 초대한 사람들을 부른다임금은 종들을 보내어 … 다시 다른 종들을 보내며” 청한 사람들을 혼인잔치에 오라 하였다잔치에로의 초대는 청함 받은 자들을 부르는 종들이 아니라 천국 잔치를 베푼 임금이다또한 아무나에게 잔치 자리가 허락된 것이 아니라 초청한 사람들이 따로 있었다무엇보다 모든 것’(4)이 다 준비된 그런 잔치였다아들의 혼인을 축하하는 잔치에 초대한 것은 임금의 특별한 배려요 사랑이요 관심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가. ‘청함 받은 자들’ 곧 아브라함의 후손인 유대인들은 왕이신 하나님이 베푼 잔치에 오기를 싫어하였고(3), 종들 곧 선지자와 제사장과 율법인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초대장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들은 척도 않는 자들도 있고(5), 혼인잔치가 아니라 자신이 가고자 하는 곳(장사)을 선택했으며(5), 또 임금이 보낸 종들을 잡아 모욕하고 죽여 버리는 사람들까지 있었다(6). 핵심은 이것이다왕이신 하나님의 명령과 초대보다 더 귀한 것이 있었다는 얘기다하나님보다 귀한 것이 있다이게 지금 십자가를 지기 위해 올라온 예루살렘의 실상이다.

한 마디로 임금의 초청을 우습게 여긴 것이다그러니까 왕의 잔치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고 오직 자신의 일에만 온통 시간과 정열을 집중하며 살았다삶의 우선순위가 임금의 잔치가 아니라 자기 자신의 삶이었기 때문이다임금은 임금이고 나는 나라는 철저한 이기주의는 물론이고하나님보다 세상 나라의 잔치에 취해 있는 이스라엘의 실상그러니 임금일지라도 내가 선택한 결정에 이러쿵저러쿵 할 수 없고내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임금의 초청보다 더 중요하다는 완악함과 교만이 저들의 본심이었다.

 

     [청한 사람들1] → 임금이 노하여 … 진멸하고 그 동네를 불사르게 된다(7)

    ▪천국의 잔치보다 내 밭’(부동산)이 더 귀하고 소중하다.

    ▪천국의 잔치보다 내 사업’(비지니스)이 더 소중하고 귀하다.

 

그러니 임금이 보낸 종들을 죽여 버리는 것 아닌가(6). 자신들과 생각이 다르면 없애버리는 것이 가장 확실한 승법(勝法)이라 생각하는 살인자들이 바로 초대받은 사람들이다임금의 뜻을 전하는 전권대사(全權大使)를 죽인 것은 더 이상 이런 요구를 하지 말라는 선전포고(宣戰布告)와도 같은 것이다세상에 겁이 없어도 유분수지지금 초청을 받은 사람들은 여기까지 높아져 있고왕과 대결할 수 있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하는 자리까지 나아가 버렸다.

 

왕의 초청장(8-14): 만나는 대로 청함을 받다.

 

마침내 임금은 자신이 베푼 잔치에 청함을 받은 사람들’(1-7) 곧 아브라함의 후손이라는 유대인들은 더 이상 이 잔치에 참여할 자격이 없다고 판단한다(8). 그럼 잔치는 어찌 되는가초대받은 사람들이 거절하면 있어야 할 잔치가 없어지기라도 하는 것일까그렇지 않다잔치는 계속된다임금이 베푼 혼인 잔치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잔치는 특별하게 초대받은 사람에게서 이제는 네거리 길에 가서 사람을 만나는 대로”(9), 그러니까 유대인이 아니라 이방인들을 초대하는 것으로 임금의 명령이 새롭게 하달된다.

이제 잔치의 초대석은 새로운 사람들로 채워질 것이다임금의 명을 받아 외치는 자들의 소리를 듣고 잔치에의 초대 앞으로 나아오기만 하면 된다종들은 만나는 대로 데려왔다: “악한 자나 선한 자나 만나는 대로 모두 데려오니 혼인 잔치에 손님이 가득한지라.”(10) 이제는 종들도초대받은 사람들도 모두가 다 임금의 기대와 요구에 충실하였다그래서 일이 제대로 된 것이다.

천국 잔치는 새로운 국면으로 넘어간다누구나 청함을 받아 잔치에 들어온다하지만 들어온 것으로 끝이 아니다그 이후에 왕은 결정적인 조건을 제시한다다시 진짜 핵심은 이것이다천국 잔치는 종들이나 잔치에 들어온 자들에 의해서 결정되지 않는다그럼 무엇인가오직 왕이신 하나님에 의해서다.

 

    ∙오직 주 예수 그리스도로 옷 입고

          정욕을 위하여 육신의 일을 도모하지 말라.”(13.14)

    ∙누구든지 그리스도와 합하기 위하여 세례를 받는 자는

          그리스도로 옷 입었느니라.”(3.27)

    ∙마귀의 간계를 능히 대적하기 위하여 하나님의 전신갑주를 입으라.”(6.11)

    ∙그러므로 너희는 하나님이 택하사 거룩하고 사랑 받는 자처럼 … 옷 입고”(3.12)

 

다시’(1) 비유로 대답하시는 것에 뭔가 실마리가 있다바로 앞 21장에서 주님은 대제사장들과 백성의 장로들그리고 바리새인들과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고 계셨다(21.23,33,45-46). 그리고 다시 비유로 대답하여”(1) 말씀하신 것이 이어지는 본문이다그렇다면 처음’(1-7) 초대받은 사람들은 도대체 누구를 가리키는 것일까아브라함의 후손바로 유대인들이다그런데 이들은 그 많은 선지자들과 제사장들과 예언자들을 통해 임금(하나님)이 하시고자 하는 일에 대한 말씀이 선포되었음에도 그것보다는 자기 멋대로 살았고심하게는 왕의 잔치를 알리는 그분이 보낸 종들을 죽이기까지 하였다주인의 잔치에는 아무런 관심도 마음도 생각도 없었다.

지금 예수님이 오신 예루살렘도 이와 다르지 않다지금 주님으로부터 이 설교가 선포되는 시간에도 메시야를 죽이려는 자들이 저들 아닌가주님을 지금 이처럼 하찮게 생각하는 것이야 초대받은 사람들의 자유(선택)일 수 있지만그러나 그것에 대한 대가는 분명 임금(하나님)으로부터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치르게 될 것이다불행하게도 저들은 이 복음의 소리를 외면하였다지금 이 시대 역시 그렇다예나 지금이나 모두들 전부가 다 자기 마음과 생각 대로다(5-6).

한 가지 난해한 문제는 새로’(8- ) 부름 받은 사람들그러니까 이방인들 가운데 잔치에 걸맞은 예복을 입지 않은 한 사람이 있었다는 점이다(11-12). 그러면 예복을 입지 않았다는 게 무얼 의미할까(11). 어쩌면 사거리 길에 나가 갑자기 청해 온 사람들이었기에 잔치에 올 때 무슨 준비를 할 수 있었겠는가하지만 유대의 혼인잔치에는 잔칫집 입구에서 하객들에게 예복을 한 벌씩 나누어준다는 게 정설(定說)이라면그렇다면 그는 천국잔치에 합당한 준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저버린 경우가 아닌가.

하지만 이 비유의 말씀을 이해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이것이다요한계시록의 도움을 받아본다어린양의 혼인잔치(19.6-10)를 묘사한 내용에 이런 부분이 있다어린양의 혼인 기약이 이르렀고 그의 아내가 자신을 준비하였으므로그에게 빛나고 깨끗한 세마포 옷을 입도록 허락하셨으니 이 세마포 옷은 성도들의 옳은 행실이로다.”(7b-8) 그렇다면 예복을 입지 않는 한 사람은 그 자신 스스로가 혼인잔치에 걸맞은 모습(행실)을 나타내 보일 수 있도록 살았다는 것에 대해 아무런 대답(시인고백)을 할 수 없는 자였다는 뜻이 된다.

그래서 유구무언(有口無言, 12)으로동시에 예복을 입지 않은 행실 그대로 자신의 자격 없음을 드러내 보일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천국 혼인잔치에는 아무나 가는가그렇게 생각했다가는 큰 코 다친다그 경우를 예복을 입지 않은 한 사람에게서 톡톡히 깨닫게 된다내가 이 땅에서 살았던 내 삶곧 옳은 행실이 내가 혼인잔치에 입을 옷이라는 요한의 계시가 다시금 나의 나됨을 돌아보게 만든다.

 

 

복음의 빛을 비출 때 드러나는 3가지 얼굴들

김충만 목사
20240707
사도행전 17.15-34

T-B-J type 교회와 사람들, 그 속에서 일어나는 일들

김충만 목사
20240630
사도행전 17.1-14

내가 빌립보교회 성도일 때 일어나는 일들

김충만 목사
20240623
사도행전 16.16-40[2]

빌립보교회, 그 개척이야기

김충만 목사
20240616
사도행전 16.16-40[1]

나의 길은 막히고, 주의 길은 열릴 때

김충만 목사
20240609
사도행전 16.6-15

복음이 할례라는 율법을 만났을 때

김충만 목사
20240602
사도행전 16.1-5

창세기의 가정(2)

김충만 목사
20240526
창세기 24.1-9

창세기의 가정(1)

김충만 목사
20240519
창세기 4.25-5.8

묵상론(11) - 하나님을 알아가는 묵상

김충만 목사
20240512
에베소서 4.13-16

묵상론(10) - 묵상대로: ④ 관주성경을 따라

김충만 목사
20240505
요한복음 3.16

묵상론(09) - 묵상대로: ③ 계시의 발전을 따라

김충만 목사
20240428
마태복음 5.17-26

묵상론(08) - 묵상대로: ② 특정 절을 따라

김충만 목사
20240421
창세기 49.22-26

묵상론(07) - 묵상대로: ① 단어를 따라

김충만 목사
20240414
요한복음 3.1-16-21

묵상론(06) – 여호와는 나의 목자(牧者)시니

김충만 목사
20240407
시편 23.1-6

아브라함, 말씀에서 이삭의 부활을 믿다.

김충만 목사
20240331
히브리서 11.17-19

사울 vs 다윗: ‘부르심 전후사’

김충만 목사
20240324
사무엘상 17.41-49

‘여자의 후손’ = 그리스도

김충만 목사
20240317
창세기 3.1-19

묵상론(05) – 묵상의 장애물(2)

김충만 목사
20240310
누가복음 24.1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