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Preaching)

<26> 진리의 반대편, 이제는 떠날 때입니다.

설교자
김충만 목사
설교일자
2022-04-10
성경본문
마태복음 12.1-21

823주일 12.1-21

진리의 반대편이제는 떠날 때입니다.

 

아담의 범죄 이후로 세상은 언제나 선과 악이 공존(共存)하며 충돌한다악은 언제나 선을 싫어하며대항하며거역하며시기하며증오하며할 수 만 있으면 선을 파괴하려고 한다이것이 악의 실체이다선한 안식일이 악한 바리새인들에 의해 일그러지는 게 한 예다(1-14). 이렇듯 안식 초대장에 정면으로 반기를 들며 천국 복음에 도전장으로 응답하고 있다.

 

바리새인들의 도전

   *시비 - “안식일에 하지 못할 일을 하나이다.”(2)

   *사람들(고발) - “안식일에 병 고치는 것이 옳으니이까.”(10)

   *의논(반응) - “어떻게 하여 예수를 죽일까.”(14)

 

제자들과 예수님은 소위 안식일 논쟁에 휘말리게 되는 빌미를 제공한다(1-8, 2.23-28). 그것은 안식일에 해서는 안 되는 몇 가지 금기(禁忌)를 범한 것이다바리새인들은 이에 기다렸다는 듯이 악을 도모하고 실행하기 위해 모였다이들은 남을 비난하고정죄하고업신여기고시기하는 일만큼은 역대급 사람들이다놀랍게도 이번에는 예수를 죽이려는 의논을 한다.

바리새인들의 언행을 보면논리와 설명으로 이해하도록 했다고 해서 죄인이 돌아서거나 멈춰 서지 않는다는 점이 분명하다지금 바리새인들의 태도가 그렇다종종 불신자들혹은 기독교에 대해서 비판적인 사람들을 논리적으로 설득(납득)하면 그들이 회개하고 돌아올 것이라는 희망을 가져보곤 한다그러나 성경은 이 생각이 잘못되었다고 말한다인간의 죄는 본질상 죄가 무엇이며즉 선()과 악()이 무엇인지를 모르기 때문이다이것을 가리켜 성경은 영적 무지라 말한다.

성경에 예수 그리스도를 핍박하고 거부했던 부류는 무지한 백성들이 아니었다소위 안다는 사람들이었다그들은 바로 바리새인서기관사두개인백성의 장로들이라는 종교 권력가들로서배우고 똑똑하고 힘있고 매우 이성적인 사람들이다그러나 성경은 그들의 실상을 이렇게 말한다: “참 빛 곧 세상에 와서 각 사람에게 비추는 빛이 있었나니그가 세상에 계셨으며 세상은 그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으되 세상이 그를 알지 못하였고자기 땅에 오매 자기 백성이 영접하지 아니하였으나”(1.9-11)

 

예수님의 대답

   *대답1 - “인자는 안식일의 주인이니라.”(8)

   *대답2 - “안식일에 선을 행하는 것이 옳으니라.”(12)

   *대답– 이사야 - “말씀하신 바 … 함을 이루려 하심이니라.”(17-21)

 

예수님은 바리새인들의 반응을 매우 지혜롭게 처리하셨다.

첫째주님은 바리새인들의 의논이 무엇인가를 아셨다: “예수께서 아시고”(15a) 이렇듯 예수님은 사람의 내면을 정확하게 아신다.

주님은 나를 아신다무엇을 구하고 있으며당신을 얼마만큼 사랑하고 있는지도 다 아신다내가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도 아신다주님은 내 마음에 아직 용서하지 못한 분노가 있음을 아시며하나님을 온전히 신뢰하거나 믿지 못하는 것 때문에 불안해하고 염려하는 아직은 남아있는 초보신앙을 아신다.

주께서 나를 다 아신다는 것을 정작 나는 알지 못하고 살았다사람들은 속일 수도 있다신앙이 아닌 윤리와 도덕과 같은 훈련으로 만들어진 것들을 통해 교묘하게 신앙이 깊은 것처럼 삶이라는 상품에 포장하여 이를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며 살 수도 있다사람에게 보여진 나와 내가 아는 나의 불일치를 적절하게 즐기기라도 하면서 말이다그러나 주님은 그런 나를 아신다(15a).

둘째주님은 그곳을 조용히 떠나셨다: “거기를 떠나가시니”(15b) 이처럼 악의 자리를 떠나는 것이 축복이다아브라함은 우상을 만드는 고향 갈대아 우르를 하나님을 믿는 믿음으로 떠나는모세는 바로의 왕궁에서 잠시 낙을 누리는 것보다 믿음으로 고난받는 위해 떠나는그렇다면 우리에게 손해가 되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하나님의 말씀과 약속에 위배될 때 그것을 과감하게 버리고 떠나는 훈련을 잘 감당해야겠다이것이 하나님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는 천국 시민의 생활이다.

셋째바리새인들의 안식일 논쟁이라는 시비를 예수님을 죽일까 의논하지만 주님은 이를 통해 구약의 약속의 말씀을 성취하신다(17-21): “이는 선지자 이사야를 통하여 말씀하신 바 … 함을 이루려 하심이니라.”(17-21) 이뿐 아니다이미 처음부터 주님은 오직 말씀으로(3,5,11-12) 이처럼 악과 악인이 진리와 천국을 방해하고이를 이루시는 예수님을 죽이려고 할 때그때마다 하늘의 진리의 말씀으로 악의 실상과 실체를 드러내셨다.

 

    ▪다윗이 자기와 그 함께 한 자들이 시장할 때에 한 일을 읽지 못하였느냐.”(3, 삼상21.1-6)

    ▪또 안식일에 제사장들이 성전 안에서 안식을 범하여도 죄가 없음을

         너희가 율법에서 읽지 못하였느냐.”(5, 28.9-10)

    ▪너희 중에 어떤 사람이 양 한 마리가 있어

         안식일에 구덩이에 빠졌으면 끌어내지 않겠느냐.

         사람이 양보다 얼마다 더 귀하냐

         그러므로 안식일에 선을 행하는 것이 옮으니라.”(11-12)

    ▪이는 선지자 이사야를 통하여 말씀하신 바 … 함을 이루려 하심이니라.”(17-21)

 

이로써 선을 악으로 바꾸려고 하는 바리새인들의 계략은 좌절되었다잠시 악이 승리하는 것 같고세상의 방식대로 사는 것이 출세하는 것 같고주일도 잊어버리고 세상을 사랑하며 사는 것이 성공하는 것처럼 보인다승리(성공출세형통)하는 것 같다그러나 이것은 잠시 잠깐일 뿐이다이것들이 슬피 울며 통곡하게 하고 나를 떠날 때가 곧 온다.

 

사소한 것에 목숨을 걸지 말자바리새인들은 자기 잘난 맛에 살다가시간만 있으면 남 비난하고남 잘되는 꼴 못 보고 열심히 끌어내리고예수님이 행하신 기적을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하여 예수를 죽일까 의논하”(14)는 사탄의 앞잡이로 살았다.

이처럼 선과 악이 충돌할 때이때 주님은 어떻게 하시는가바리새인들이 진리를 거부하고 주님의 사역을 훼방하면 예수께서 아시고”(15a), 주님은 이 악한 무리와 거기를 떠나”(9,15a)시고변함없이 하나님의 나라의 복음을 증거하신다지칠만도 하고멈추고 싶을만도 하고적대자들이 더 이상 씩씩거리지 못하도록 본때를 보여줄 수도 있는 능력을 행할 법도 한데 말이다.

뿐만 아니라 또한이런 와중에서도 구약의 예언을 성취하신다(17-21, 42.1-4, 61.1). 참으로 놀랍다이런 열악한 형편에서도 하나님의 약속을 성취하시는 주님처럼 살아야겠다그래서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지 못하도록결국 하나님의 법이 강물처럼 흐르도록 선으로 악을 이기신다.

 

 

묵상론(04) – 묵상의 장애물(1)

김충만 목사
20240303
창세기 3.1-13

묵상론(03) – 느헤미야의 묵상

김충만 목사
20240225
느헤미야 5.1-13

묵상론(02) – 묵상이란 무엇인가?

김충만 목사
20240218
에베소서 4.13-16

묵상론(01) – 묵상(QT)이란 무엇인가?

김충만 목사
20240211
여호수아 1.8-9

율법은 정죄하고, 복음은 품고

김충만 목사
20240204
사도행전 15.12-21

은혜 안에 있는 해답

김충만 목사
20240128
사도행전 15.1-11

주께 드리는 1차 선교보고서

김충만 목사
20240121
사도행전 14.19-28

지금은 누가복음의 선교처럼

김충만 목사
20240114
누가복음 8.1-3

고난과 영광, 그 사이에서

김충만 목사
20240107
사도행전 14.1-18

믿음의 명문가문(名門家門)

김충만 목사
20231231
창세기 50.22-26

창세기에 심고, 출애굽기에서 거둔다.

김충만 목사
20231231
창세기 50.22-26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 사랑!

김충만 목사
20231225
로마서 5.12-21

말씀대로 이루어질 것을 믿습니다!

김충만 목사
20231224
누가복음 1.26-56

복음, 그 부르심에 응답하라!

김충만 목사
20231217
누가복음 1.1-25

예수 그리스도가 복음이다.

김충만 목사
20231210
사도행전 13.13-43

제1차 선교행전 스타트

김충만 목사
20231203
사도행전 13.1-12

보이는 위기, 보이지 않는 섭리

김충만 목사
20231126
사도행전 12.1-25

울 때가 있으면, 웃을 때도 있다.

김충만 목사
20231119
시편 126.1-6, 누가복음 8.5-15